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통합검색
전체메뉴
  1. 대구소개
  2. 역사
  3. 대구사료총서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

대구사료총서

대구사료총서 - 자료명, 내용, 의의, 비고
자료명 서지 내용 상세보기
(대구사료총서1)
국역 대구부읍지
*부록:경산현, 현풍군, 칠곡부읍지
  • 발행일 : 2021. 12.(1쇄) / 2024. 4.(2쇄)
  • 옮긴이 :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대구부읍지)
    경북대 퇴계연구소(부록)
대구는 오랜 기간 영남의 중심지였고, 대구 사람들은 자부심을 가지고 대구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으로 남겨 왔다. 1899년 편찬된 『대구부읍지』는 현재 8종만이 남아있는 대구읍지 중 가장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대구읍지로, 대구부의 역사, 지리적 여건, 지역민의 현황, 지역의 문화유산, 지역의 제반시설 등 19세기 대구의 모든 정보가 총 망라되어 있다. 『대구부읍지』는 당시 대구의 실상과 현황, 그리고 대구의 역사와 전통을 두루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상세보기
(대구사료총서2)
대구민단사
  • 발행일 : 2024. 5.
  • 편 찬 : 대구부(大邱府)
  • 옮긴이 :
    최범순(영남대 일어일문학과)
대구일본거류민단은 대구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이 자치를 위해 1906년 결성되어 1914년까지 지속된 단체이다. 당시 대구의 일본인들은 ‘구태’를 이유로 조선의 전통을 해체하고 일본의 ‘근대’를 이식하였다. 대구민단의 역사는 전통도시 대구가 해체되어 식민도시로 전환되는 과정이며, 조선인의 도시 대구가 일본인의 도시로 재편되는 것을 보여주는 역사이다. 상세보기
(대구사료총서3)
대구부사례
  • 발행일 : 2025.5.
  • 편찬 : 대구부(大邱府)
  • 옮긴이 : 정병호(경북대학교 한문학과)
이 책은 겉표지에는 “영남 대구 읍사례(嶺南 大邱 邑事例)”로, 속표지에는 “대구부사례(大邱府事例)”로 표기되어 있다. ‘대구부’의 예산운영과 관련한 내용이 수록된 것으로, 사무분장과 수입 및 지출 등 재정운영의 내역을 수록한 재정관계서이다. 대구부의 재정 현황을 중심으로 한 사례를 규정하여 각방(各房)과 각색(各色)별로 항목을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상세보기
(대구사료총서4)
조선 향토지리의 실례 : 대구편
  • 발행일 : 2025.5.
  • 편찬 : 대구부(大邱府)
  • 옮긴이 : 최범순(영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김명수(계명대학교 일본어일본학과 교수)
당시 대구의 인문지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1930년대 제국주의 일본의 내셔널리즘 교육과 식민지 교육정책에서 매우 중요하고도 민감한 이슈였던 ‘향토지리’의 관점에 따라 ‘대구 분지’의 지형과 기후 특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경작 및 취락 상황과 특징, 대구 인근 ‘근교’ 지역 정보를 담고 있다. 상세보기

현재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
최근수정일 2025.05.02
담당부서
문화유산과
담당자
박승봉
전화번호
053-803-3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