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정의 : 성평등 수준을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지수화 한 값
- 특징 : 남녀의 격차(GAP)를 측정하는 지수(남성과 여성 대비 격차 등 수준)
- 지표체계 : 3개 목표, 7개 영역, 20개 지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기 준 일) ’22.12.31.
- (발 표 일) ’24.6.7.
현황 및 결과
영역별 성평등지수 수준
영역별 성평등지수 수준을 구분, 사회참여 영역-경제활동, 의사결정, 교육훈련, 인권복지영역-복지,보건, 안전, 의식문화영역-가족, 문화정보를 안내함
목표(3) |
①동등한 권한 |
②자원의 동등한 접근 |
③평등한 관계 |
(가점) |
영역(7) |
의사결정 |
고용 |
소득 |
교육 |
건강 |
돌봄 |
양성평등 의식 |
안전 |
점수/순위 |
43.1/2 |
78.5/8 |
68.9/13 |
95.9/6 |
94/3 |
29.9/17 |
81.9/5 |
75/4 |
대구지역: 2020년 중상위권 ⇒ 2021년 중상위권 ⇒ 2022년 중상위권
지역성평지수 시도별현황을 등급 지역으로 안내함
등급(점수) |
지역 (행정구역 순) |
상위지역 (75.32점∼71.81점) |
서울, 광주, 대전, 세종, 제주 |
중상위 지역 (71.31점∼70.32점) |
부산, 대구, 경기, 충남 |
중하위 지역 (70.11점∼69.83점) |
인천, 울산, 강원, 전북 |
하위 지역 (69.59점∼68.55점) |
충북, 전남, 경북, 경남 |